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파르타코딩클럽
- Wil
- 페이지네이션
- vscode
- paginator
- orm
- 스파르타코딩클럽후기
- error
- 선형회귀
- 디스코드봇
- Python
- 웹프로그래밍A-Z기초
- 파이썬
- Django
- network
- 내일배움캠프
- 장고
- HTML
- 머신러닝
- musicbot
- 기초문법
- MySQL
- git
- 터미널
- Model
- 코딩교육
- predict
- cs
- JavaScript
- 파이널프로젝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9)
lution88
# JWT 토큰 사용 및 인증과 인가 1. 인증과 인가 2. JWT인증 관련 3. bcrypt Django에서 로그인과 회원가입 회원탈퇴에 사용할 JWT토큰 사용법 및 인증과 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인증 Authentication 과 인가 Authorization 란 무엇일까? 인증과 인가는 API에서 자주 구현되는 기능들 중 하나이다. - 인증 :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이다. 사용자의 id와 password를 받아서 등록된 사용자가 맞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 인가 : 인증이 로그인 과정이라면 인가는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권한을 주는 것이다. 인증 Authentication 이란? 인증이란 유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절차를 가리키며, 쉽게 로그인하는 과정을 생각하면 된다. 인증..
Django에서 유저기능을 구현할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django.contrib.auth 패키지 입니다. contrib에는 장고가 빠르고 간편하게 웹개발을 할 수 있도록 이미 완성된 앱 여러개가 포함되어 있다. auth, admin, staticfiles 등 다양한 contrib 앱들이 있다. auth는 authentication으로 유저 인증(유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절차)을 뜻한다. django.contrib.auth 안에는 유저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유저모델 User model과 /login, /logout 과 같은 url패턴을 정리하는 urls 파일, login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views 와 form 들이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코드들을 프로젝트에 가져와서 ..

OSI 7계층이란 통신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입니다. 계급과 상하구조가 존재하며 각 계층은 독립되어 있습니다.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계층은 비트단위의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단지 데이터를 전송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오류가 있는지 등은 신경쓰지 않는다. 단위는 bit 이고 관련장비는 케이블, 리피터, 허브가 있다.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계층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frame에 MAC 주소를 부..

HTTP의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사용자 요청을 알리는 수단입니다. 메소드의 종류로는 GET, POST, PUT, PATCH, DELETE 가 있습니다. - GET : 데이터 조회 - 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 PUT : 데이터 수정 - PATCH : 일부 데이터 수정 - DELETE : 데이터 삭제 Q. GET 과 POST의 차이는? GET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정보를 요청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입니다.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때 값이나 내용, 상태 등을 바꾸지 않는 경우 사용합니다. GET은 리소스를 쿼리스트링으로 전달합니다. POST는 리소스를 생산/업데이트 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메소드입니다. 서버상의 데이터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HTTP의 상태코드는 1xx번대부터 5xx번대까지 있습니다. 1xx 번대는 정보확인에 대한 상태코드이고, 2xx 번대는 통신 성공, 3xx 번대는 리다이렉트, 4xx 번대는 클라이언트 에러, 5xx 번대는 서버 에러를 나타냅니다. 1xx 번대 : 정보 확인 2xx 번대 : 통신 성공 - 200 : OK, 요청 성공(GET) - 201 : Create, 생성 성공(POST) 3xx 번대 : 리다이렉트 4xx 번대 : 클라이언트 에러 - 400 : Bad Request, API에서 정의되지 않은 요청이 들어온 경우 - 401 : Unauthorized, 인증 오류 - 403 : Forbidden, 권한 밖의 접근 시도 - 404 : Not Found, 요청 URI에 대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5xx ..
HTTPS란 http에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http로 비밀번호, 주민번호 등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 제 3자에 의해서 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http에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SSL)이 https 입니다. 즉, HTTPS는 SSL 프로토콜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인 것이죠. - SSL : Secure Socket Layer : 보안 소켓 계층으로 웹 사이트와 브라우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표준 기술. - HTTP : HTTP TCP | HTTPS : HTTP SSL TCP HTTPS에서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
HTTP란 무엇인가요? HTTP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로 평문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릅니다. http는 method, path, version, header, bod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 특징과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응답을 하고 연결을 끊는 connectless 특징이 있습니다. - Stateless 는 연결을 끊으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접속이 끝나며, 상태정보는 유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 Connectless 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응답을 한 뒤 연결을 끊는 것을 말합니다. http의 장점은 통신 간의 연결 상태 처리나 상태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파이썬 기초 300제를 풀다가 몰랐던 기능을 배워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join 함수" . 파이썬의 join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1. "".join(리스트) 2. "구분자".join(리스트) join함수는 매개변수로 들어온 리스트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하나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바꾸고 리턴해줍니다. 즉, a = ['apple', 'banana', 'cake'] 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join을 사용하면 하나의 문자열로 리스트의 원소를 모두 보여주는 것이죠. a = ['apple', 'banana', 'cake'] print("".join(a)) print(' '.join(a)) print('/'.join(a)) print('_'.join(a)) print('\n'.jo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