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장고
- git
- JavaScript
- cs
- 파이썬
- Django
- error
- 터미널
- Model
- 페이지네이션
- network
- 내일배움캠프
- 기초문법
- 머신러닝
- paginator
- orm
- Wil
- 스파르타코딩클럽후기
- predict
- 파이널프로젝트
- 코딩교육
- MySQL
- 디스코드봇
- Python
- vscode
- 웹프로그래밍A-Z기초
- 선형회귀
- HTML
- musicbot
- 스파르타코딩클럽
- Today
- Total
목록git (3)
lution88

branch란? 하나의 코드 관리 흐름으로 나뭇가지라 표현한다. 루트커밋(맨처음 commit)을 시작으로 가지가 갈라지는 나무모양이다. 그 가지 하나가 branch! master는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커밋을 하게되면 자동으로 생기는 기본 브랜치이다.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 여러개의 branch를 만들어서 작업가능. 커밋을 통해 만들어온 하나의 코드 관리 흐름 = branch 1)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 이름 ex) git branch lution 2)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이름 ex) git checkout lution 3) 브랜치 조회하기 git branch 4)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이름 5) 브랜치 만들면서 이동하기 git checkout -b 이름 6..

git reset 을 하면 1) HEAD가 과거의 특정 커밋을 가리키도록 한다. 2) staging area를 과거의 특정 커밋의 내용과 똑같게 만든다. 3) working directory를 과거의 특정 커밋의 내용과 똑같게 만든다. ###git reset 의 3가지 옵션 옵션에 따라 어느 단계까지 처리하는지가 달라진다. git reset -- soft / git reset --mixed / git reset --hard - soft는 1단계만 :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는 바뀌지 않고 그대로 있다. - mixed는 1단계와 2단계. : working directory는 안바뀌지만 staging area와 repository는 바뀐다. -hard 는 1, 2, 3단계 ..

-- SourceTree -- 오늘은 GIT 강의를 들었다.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깃을 사용하기 어려웠는데 sourcetree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니 쉽게 commit 하고 변경 history 를 확인할 수 있어서 좋은것 같다. git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다 텍스트 파일을 만들면서 실습을 해보았다. git 이 새로운 파일을 자동적으로 읽어오고, 또 변경사항이 있으면 자동적으로 표시를 해 주었다. 현업에서는 이런 프로그램보다 리눅스 명령어로 git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키보드와 마우스로 배경화면을 누비는 나에겐 아직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일단 오늘 배운 sourcetree로 사용법들을 익혀서 개념적으로 익숙해지면 터미널창에서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